목표 Iterable과 Observable을 사용해 1부터 10까지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합니다 Iterable과 Observable 의 쌍대성(duality)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Iterable Iterable은 Collection 인터페이스에서 구현하고 있는 인터페이스로 내부의 원소들을 순회할 수 있게 만든 interface 입니다 iterator.next() 를 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식입니다(pull 방식) //메인 안의 메소드 Iterable iter = () -> new Iterator() { int i = 0; final static int MAX = 10; @Override public boolean hasNext() { return i < MAX; } @Override publi..
JVM이란 Byte Code(.class파일)를 OS에 맞게 해석해주는 역할입니다 JVM 구조 1. Class Loader 2. Execution Engine 3. Runtime Data Areas Class Loader란 자바에서 소스를 작성하면 Person.java 처럼 .java파일이 생성됩니다. .java 소스를 자바컴파일러가 컴파일하면 Person.class 같은 .class파일(바이트코드)이 생성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클래스파일들을 엮어서 JVM이 운영체제로부터 할당받은 메모리영역인 Runtime Data Area로 적재하는 역할을 Class Loader가 한다.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때 이런 작업이 수행됩니다.) Execution Engine의 역할 Class Loader에 의해 메..
영속성 컨텍스트 란? entity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입니다 EntityManager.persist(entity);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DB가 아님) EntityManager를 통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합니다 스프링에서는 엔티티 매니저와 영속성 컨텍스트가 N:1 엔티티의 생명주기 비영속(new/transient) 영속성 컨텍스와 전혀 관계가 없는 새로운 상태입니다 영속(managed) 영속성 컨텍스트에 관리되는 상태입니다 준영속(detached)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었다가 분리된 상태입니다 삭제(removed) 삭제된 상태입니다 EntityMa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test"); EntityManag..
- Today
- Yesterday
- reactive
- strategy
- nosql
- jdk11
- Effective JAVA
- Java
- LAMBDA
- 부하테스트
- concurrency
- template method
- observable
- 디자인패턴
- Redis
- jvm
- Serialize
- template
- iterable
- Design Pattern
- object
- JMeter
- reactive stream
- Serializable
- exception
- gslb
- Concurrecy
- Spring
- Observer Pattern
- 영속성
- in-memory
- 메인보드#asrock b650m #조립pc #후기이벤트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